부동산119 홈페이지

[질문]


부동산매매 시 위조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나요?

 



[답변]


부동산직거래 부동산119 ( www.bd119.com ) 입니다. 최근 부동산서류를 위조, 권리자를 사칭해서 사기를 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사실 위조된 부동산서류를 통해 소유권이전등기까지 받거나, 이사(점유)까지 갔다고 하더라도 향후 실제 소유자에 대해서는 대항하지 못합니다.

즉, 진실한 권리자에 대해서는 아무런 피해보상을 받지 못한 채 이전등기 받은 것을 말소하거나 집을 비워줘야 합니다. 결국, 최종적인 피해자는 사기사건을 모른 채 부동산을 취득한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부동산을 취득하는 사람은 상대방이 진실한 권리자인지 여부에 대하여 아무리 주의해도 지나치지 않은 것입니다.

이런 상담사례를 자주 접하는 필자는, 관련 서류를 지나칠 정도로 꼼꼼히 살피는 것만으로도 부동산위조사건은 상당부분 예방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일반인들이 느끼기에는, 부동산위조 사기범은 모든 관련 서류를 철저하게 감쪽같이 위조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막상 실무에서 접하는 부동산위조 사건들은 부동산위조과정에 약간씩은 허점에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등기권리증과 주민등록증상의 한자(漢字)가 일부 다르거나, 관련공부상에 기재된 주민번호에 알치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주민등록증 하단에 관공서 직인이 표시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습니다.

즉, 주민등록증 하단에는 “용산구청장”이라고 한글로 표시되어 있고, 옆에 빨간색 직인을 날인되어 있는데 유심히 들여다보면 빨간색 직인이 “용산구청장”이 아니라 “성북구청장”의 표기로 되어있는 사례도 있었습니다. 그 밖에도 등기권리증 용지가 당시에 사용하지 않는 용지로 되어 있어 법무사 등 전문가만이 식별할 수 있는 하자가 발견된 사례도 있었습니다.

놀라운 사실은, 부동산 위조사기 사건의 상당부분에서 이러한 흠이 발견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필자가 보기에 이러한 현상은, 사기범행이 오랜 준비를 거치지 않고 단기간의 준비만으로 급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되는 바, 결국 반대로 생각하면 꼼꼼한 서류상의 확인절차만으로도 사기범행의 상당부분이 예방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러한 서류 확인 이외에도 부동산세금 납부영수증이나 관리비 영수증 등 상대방이 소유자임을 증빙할 수 있는 추가서류를 별도로 요청하는 것도 사기피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한편, 중개업소나 법무사 등 전문자격사가 부동산거래에 함께 관여한다고 하더라도 어차피 이들은 남의 일을 대행하는 업이기 때문에 본인만큼 철저한 주의를 기울일 수가 없다는 점에서 이들에게만 업무를 맡겨버리고 본인 스스로의 주의를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태그 : 중개거래사기, 부동산중개업소사기, 직거래사기, 부동산사기방법, 부동산사기수법, 부동산매매사기예방법, 부동산사기꾼들, 기획부동산사기수법, 기획부동산사기방법, 부동산매매사기방법, 부동산매매사기수법



 

Posted by 부동산직거래 부동산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