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정원가꾸기 - 풍수를 고려한 정원꾸미기
- 우리 조상들은 옛부터 묘를 쓰거나 집을 짓거나 정원을 가꿀 때 풍수지리의 원리에 기반을 두었는데, 조상들의 삶의 지혜와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으므로 이왕이면 풍수원리를 바탕으로 정원을 가꾸어서 집안에 복이 찾아온다면 좋은 일이기에 정원 가꿀 때 참고를 하면 좋을 듯하다.
(1) 대문 앞에 큰 나무를 심지 않는다.
큰 나무가 양기가 집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고 음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뿐만 아니라 가을에 낙엽이 많이 떨어져서 관리도 힘들기 때문이다. 특히 두 갈래로 갈라져 뻗은 나무는 불길하다고 생각했다. 대문 앞에 자라는 나무 뿌리가 집안으로 들어오는 것은 피해야 하고 대문 앞의 나무가 대문보다도 더 높아서 대문을 가리는 것은 불길하다고 보았다.
또 지붕 위나 문 앞에 오랜된 고목이나 한 그루의 나무가 그늘을 드리우는 것을 불길하게 보았는데, 그 이유는 지붕 위에 낙엽이나 고목이 있으면 습해지고 고목이 쓰러져 가옥을 다칠 염려가 있으며, 문 앞의 고목은 보기에도 음흉할 것이며, 문 앞에 나무가 한 그루만 있으면, 균형감이나 안정감이 없어 부족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2) 집안에 심는 나무가 지붕보다 높거나 가지나 나뭇잎이 무성해 햇빛을 너무 차단하면 양기가 집에 도달할 수 없고, 나뭇가지가 지나치게 많으면 땅으로부터 많은 수분을 빨아들여 땅속의 물기를 마르게 해서 땅의 기운이 생기를 잃게 만들어서 불길하게 보았다.
(3) 풍수적으로 건물은 남성과 귀한 것을 상징하고 마당은 여성과 부유함을 상징한다고 한다.
그래서 마당의 형태에 따라 길흉화복이 달라진다. 마당은 판판하고 네모반듯하거나 원만한 원형인 것이 좋고, 기울어지거나 판판하지 않거나 모가 나면 재산이 모이지 않고 병이 생긴다고 한다.
특히 마당이 삼각형의 형태로 날카롭게 각이 지면 강도, 교통사고, 큰 수술등의 불행한 일이 생길 수 있다고 매우 불길하게 보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모가 난 부분에 담장을 쌓아 부드럽게 완화시켜 흉한 부분을 길한 부분으로 바꾸어 주는 것이 좋다고 한다.
마당은 특히 토지의 땅모양과 관련이 있다고 보면 된다.
(4) 정원에 큰 나무를 심거나 인공적인 연못을 파는 일은 불길하다고 생각했다.
정원에 큰 나무를 심으면 한자로 곤궁한 곤(困)자가 집안에 재앙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기(氣)를 혼탁하게 하거나 흐름을 방해해서 좋지 않고, 정원의 인공연못은 건물의 생기를 보호하고 있는 물의 기운이 모두 연못으로 흘러가게 됨으로써 땅의 기운도 흩어지게 되므로 매우 불길하다고 생각을 했다.
또한 인공연못은 물 관리를 잘해주지 않으면 빨리 오염되고 탁해져서 악취도 날 수 있고, 모기나 벌레가 생길 수 있으므로 연못 관리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5) 마당을 콘크리트 등으로 포장을 하거나 정원에 큰돌과 자갈 등을 많이 깔면 열의 전도율이 빨라 좋은 기를 발생시킬 수 없고, 양기나 흙의 기운을 막고 음기를 불러들여 쇠퇴한다고 생각했다. 특히 돌을 많이 깔면 여름에 돌이 열을 흡수해서 몹시 뜨겁고 겨울에는 주변의 열을 흡수해서 춥게 만든다. 그러므로 정원에 너무 많은 돌을 까는 것은 좋지 않으므로 정원석은 띄엄띄엄 배치하고, 정원의 크기를 고려해서 정원석의 수를 조정해서 조화를 이루게 배치하는 것이 좋다.
정원에 석등(石燈)이나 인물석(人物石) 또는 큰 수석(水石)을 세우면 상부석(孀婦石)이라 하여 부인이 상복(喪服)을 입는다고 불길하게 생각했다.
(6) 정원에 너무 많은 나무를 심는 것은 좋지 않다.
정원에 꼭 나무를 많이 심고 싶다면 키가 작은 나무나 화초를 심는 것이 좋다. 진달래와 같이 성장이 느리고 경관을 해치지 않는 종류가 좋으며, 분재나 화초를 이용해서 정원의 단조로움을 보완할 수 있다. 정원에 잔디를 까는 것은 좋다. 또 주된 건물의 전후좌우에 정원이 두개 있으면 파산할 가능성이 있어서 불길하다.
(7) 정원이나 담장에 비비 꼬이는 나무가 있는 것은 좋지 않으나 150평 이상의 건물에서는 괜찮다.
(8) 우리나라 전통정원 양식으로 후원(뒷뜰)이 있는데 뒤뜰(후원)에 계단식으로 정원을 만들면 아랫단에 장독대를 둘 수 있고, 단마다 앵두나무와 같은 작은 꽃나무 관목이나 화초류를 심으면 보기도 좋고 뒷산에서 집으로 뻗어온 땅의 기운을 잘 보전할 수 있고, 이 기운을 받아 훌륭한 인물이 태어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산 밑에 전원주택을 짓는 경우 경사도가 있어서 산사태가 난다거나 낙석의 위험 등이 있는데 뒤뜰을 계단식으로 석축을 만들어서 정원을 꾸미면 토사의 유출이나 산사태의 위험을 막을 수 있는 이점도 있고 뒤뜰은 조용해서 조용히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창덕궁 후원에 가면 특히 전통정원 양식으로 후원(뒷뜰)이 잘 조성되어 있다. 뒷뜰의 사용은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장소라고 볼 수 있다.
(9) 풍수적으로 부득이하게 좋지 않는 곳에 살아 할 경우, 나무를 심는다던지 조산(造山)을 만들어서 불길한 부분을 보충해서 편안하고 좋은 방향으로 바꾸는 것을 비보조경풍수(裨補造景風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위한 우리 삶에 불길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이 땅의 기운을 약하게 한 경우는 성토한 조산(造山)을 만들어 집에 생기를 주고, 살기(殺氣)가 강한 경우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키 작은 나무를 심어 바람을 차단시키고, 큰 돌을 집의 네 귀퉁이에 두면 재앙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한다.
자신이 원하는 좋은 땅을 사서 좋은 집을 짓고, 예쁜 정원도 만들면 좋겠지만 경제적인 여력에 맞추어서 주택과 정원을 꾸며야 하는 것이 현실이므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서 좋은 부분으로 바꾸어 나가는 것은 오늘날의 관점에서 봤을 때도 매우 현명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10) [산림경제] (복거편)에서는 정원수에도 사신사의 원리를 적용하여 동쪽에는 복숭아나무나 버드나무를 심어 좌청룡으로 삼고 서쪽에는 느릅나무와 산뽕나무, 치자를 심어 우백호로 삼았으며, 남쪽에는 매화나무나 대추나무를 심어 전주작으로 삼고 북쪽에는 사과나무나 살구나무, 벚나무를 심어 후현무를 삼았다. 국화는 동쪽 울 밑에 심었으며 맨드라미나 봉선화는 울 밑이나 장독대 옆에 흔히 심었다.
(11) 나무는 햇볕을 많아 받아야 잘 자라는 양목(陽木)과 햇볕이 없어도 잘 자라는 음목(陰木), 아무데서나 잘 자라는 음양목(중간수)이 있으므로 잘 고려해 심는다.
양목으로는 은행나무, 소나무, 느티나무, 잎갈나무, 곰솔, 노간주나무, 자작나무, 사시나무, 버드나무, 오동나무, 목련, 모과나무, 향나무, 앵두나무, 석류나무, 대추나무, 라일락, 장미 등이 있고 음목으로는 너도밤나무, 솔송, 전나무(젓나무), 주목나무, 동백, 생달나무, 수국, 회양목, 호랑가시나무, 팔손이나무, 사철나무 등이 있다. 음양목(중간수)으로는 오엽송, 왜금송, 편백, 탱자나무, 담쟁이 덩굴, 영산홍, 철쭉나무, 대나무 등이 있다.
(12) 팔괘 방위에 따른 길(吉)한 나무와 불길한 나무
1) 북(坎): 회화나무(훼나무), 느릅나무, 벗나무, 개암나무, 진달래, 살구나무, 능금나무 길하다.
북쪽에 자두나무(오얏나무), 동백나무, 춘백, 영산홍, 왜철쭉, 치자나무, 석류, 월계화를 심는 것은 불길하다.
2) 동북(艮): 매화나무, 대나무 길하고, 큰나무는 불길하다.
3) 동(震): 벚나무, 소나무, 매화나무 중 1개만 있어도 길하고, 또 복숭아나무, 버드나무, 벽오동, 홍벽도, 자두나무(오얏나무), 회화나무, 국화도 심으면 좋다.
4) 남동(巽): 매화나무, 오동나무, 뽕나무, 옷나무, 버드나무가 길하다.
남동쪽에 살구나무는 불길하다.
5) 남(離):오동나무, 거목, 복숭아나무, 매화나무, 활엽수가 길하다.
남쪽에 느티나무, 소나무, 자두나무(오얏나무)는 불길하다.
6) 남서(坤): 대추나무, 작약나무, 매화나무가 길하다. 남서쪽의 큰 나무는 여름의 시원한 바람을 막아 좋지 않다.
7) 서쪽(兌): 느릅나무, 소나무, 산뽕나무, 대추나무, 치자나무가 길하다.
서쪽에 버드나무, 자두나무(오얏나무), 복숭아나무는 불길하다.
8) 북서(乾): 석류나무, 오동나무, 소나무, 감나무, 밤나무, 은행나무가 길하다. 또, 대나무, 오동나무 3그루, 큰나무를 심으면 좋다.
북서쪽은 최고의 길(吉)한 방향으로 북서쪽에 큰 나무가 있으면 집을 지켜주고 행복을 가져다 준다고 생각하여 매우 길하게 생각했다. 북서쪽의 큰 나무는 여름에는 그늘이 되어주고 봄에는 흙먼지를 막아주고 겨울에는 북서풍을 막아 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북서쪽의 오래 된 큰 나무는 함부로 베면 자손이 끊어지거나 큰 화를 당한다고 하니 절대로 함부로 베어서는 안 된다.
(13) 중국 원나라 시대의 책 ‘거가필용(居家必用)’에 따른 풍수원리에 따른 나무심기
1) 주택의 동쪽에 살구나무가 있는 것은 불길하다.
2) 북쪽에 배나무가 있고, 서쪽에 복숭아나무가 있으면 사는 사람이 모두가 음탕하고 사악한 일을 행한다.
3) 서쪽에 버드나무가 있으면 사형을 당한다.
4) 동쪽에 버드나무를 심으면 말이 불어나고, 서쪽에 대추나무를 심으면 소가 불어난다.
5) 중문(中門)에 회화나무가 있으면 3세(世)가 되도록 부귀를 누린다.
6) 뒤쪽에 느릅나무가 있으면 갖가지 귀신들이 접근하지 못한다.
(14) 풍수원리에 따른 나무 심는 법
1) 문앞에 회화나무, 대추나무 2그루를 심으면 좋으나, 오래된 고목이나 큰 나무, 문 옆에 대칭으로 두 그루, 상록수, 수양버들은 좋지 않다. 대문에서 바로 보이는 위치에 나무를 심는 것도 좋지 않다. 대문 앞에 나무 한 그루가 가로막고 있거나 큰 나무가 문 옆에 있으면 염병을 자초하거나 주인이 전염병에 걸린다고 한다.
2) 마당 한가운데(중정)에는 큰 나무를 심으면 안 되고 너무 많은 나무를 심으면 안 된다. 왜냐하면 유지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땅의 습기를 빨아들여 땅을 가물게 한다. 마당 한가운데는 화초류, 키가 낮은 꽃나무를 심는 것이 좋다.
화초목은 각각 상징적인 뜻이 있는데 동백꽃은 화목과 복(福), 배롱나무(목백일홍)는 장구한 부귀영화, 무궁화는 평생 쉬지 않고 스스로 연마하라는 뜻을 담은 자강불식(自强不息), 모란과 작약은 부귀영화, 연꽃은 종자가 많이 열려 다산, 석류나무는 부부금술과 자손번영을 상징한다.
3) 집 주위에는 채광과 통풍을 가리지 않을 정도의 소나무와 대나무가 있으면 좋으나, 단풍나무, 사시나무, 가죽나무를 심는 것은 좋지 않다.
4) 주택 안에는 무궁화, 뽕나무를 상륙(자리공), 큰나무, 상록수, 살구나무를 심는 것은 좋지 않다.
5) 마당안(정전)에는 석류나무를 심으면 똑똑한 자식을 두고 자손이 번성해져 길하다. 그러나 파초와 오동나무는 집 한가운데 심으면 안 된다.
6) 우물가에는 개나리, 무궁화, 쥐똥나무, 구기자나무를 심으면 좋고, 복숭아나무와 오동나무는 우물가에 심으면 불길하니 심지 말아야 한다, 특히 복숭아나무는 남쪽이나 동쪽에 심고, 서쪽은 피해야 한다.
7) 동쪽울타리밑에는 서쪽으로 향하는 성질이 있는 국화를 심으면 좋다.
8) 뒷마당에 느릅나무를 심으면 온갖 귀신이 접근하는 것을 막아주므로 좋다.
9) 풍수적으로 모과나무는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부적합하고, 바람에 하늘거리는 모습이 요염한 여자의 허리와 비슷하다고 하여 버드나무는 심지 않았고, 수양버들은 늘어진 가지가 상을 당해 머리를 풀어 헤친 여인의 모습을 연상시켜서 불행한 일이 생긴다고 심지 않았다. 은행나무, 오동나무, 포도나무는 정원수로 부적합하다.
10) 아카시와 소나무, 향나무와 배나무는 서로 상극이므로 함께 심으면 안 된다.
'부동산 지식정보 > 정원 조경수 나무 지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생장속도에 따른 나무 분류 - 생장속도가 느린 나무(조경용소재도감 참고) (0) | 2019.01.03 |
---|---|
3. 생장속도에 따른 나무 분류 - 생장속도가 매우 느린 나무(조경용소재도감 참고) (0) | 2019.01.03 |
2. 생장속도에 따른 나무 분류 - 생장속도가 빠른 나무(조경용소재도감 참고) (0) | 2019.01.03 |
1. 생장속도에 따른 나무 분류 - 생장속도가 매우 빠른 나무(조경용소재도감 참고) (0) | 2019.01.03 |
1. 정원가꾸기 - 정원수를 심을 때 필독사항 (0) | 2018.11.29 |